|
 |
|
|
|
지난달 29일 제16대 전남교육감 취임준비위원회가 기자회견을 갖고 전남교육 개혁과제를 발표했다. |
|
|
제16대 장만채 전남교육감 당선자 취임준비위원회가 29일 전남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제고사와 교원평가 등 전남교육 주요현안에 대한 기본 입장을 밝혔다.
준비위원회는 교육목표를 '소통과 협력으로 신뢰받는 전남교육'으로 정하고 학교중심 학교운영 등의 5대시책과 친환경무상급식 등 5대 역점사업을 제시했다.
일제고사의 경우 지역과 학교상황을 고려한 선택권과 학력미달 학생에 대한 지원책 등이 선행돼야 하나 암기위주의 문제풀이와 사교육비 증가 요인을 가져오는 방식의 일제고사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오는 7월로 이미 예정돼 있는 일제고사에 대해서는 "전면 백지화는 힘들다"는 입장으로 예정대로 시행될 것임을 밝혔다.
또한 교원배정방식 변경으로 급속화 된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대해서도 반대의 입장을 밝히고 소규모학교 협동교육 등 보완책의 필요성과 농산어촌교육특별법제정을 통한 제도적 지원방안과 지자체와의 협력방안을 모색하겠다는 대안을 제시 했으며 무상급식에 대해서도 지자체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보충수업의 경우 학생의 선택 폭 확대를 위한 다양한 강좌개설과 선택형 보충수업을 위한 교실 확보 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밖에도 우열반편성, 특목고 추가설치, 자립형 사립고 설치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고교평준화정책을 유지해야 하며 교장 공모제 확대와 학생인권조례제정을 적극 찬성 했다.
이와관련 준비위원회는 인사의 객관성과 투명성 신뢰성을 확보하고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해 교육장공모제가 필요함을 말하고 기존의 교육장 공모절차와는 또 다른 비책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 올해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된 교원평가 방식에 대해서도 법적 근거 없이 진행되고 있는 점을 지적하고 기존의 3중 평가를 개선해야하며 학부모, 교사, 시민단체, 교육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별도의 연구팀 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준비위원회는 민노당 가입교사에 대한 징계에 대해서는 해당교사들이 현재 민노당 가입관계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어 사실관계 확인이 관건이 될 것이나 교과부에서 징계권의 권한 범위를 넘어섰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한 분명히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입장을 밝히고 해당교사들의 억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징계과정에서 소명의 기회를 제공할 것임을 전해 경기도교육청과 비슷한 경징계선이 될수 있음을 내비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