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신문/해남신문

폐교… 농촌 공동체 문화까지 파괴

희망의 시작 땅끝해남 2010. 7. 5. 15:34

폐교… 농촌 공동체 문화까지 파괴
경제논리 접근 안돼, 획일적 통폐합 지양해야
2010년 07월 02일 (금) 14:01:18 김영란 기자 wdkokomo@hanamil.net
   
 
  교원배정방식변경 이후 통폐합이 된 기존 소규모 초등학교의 현재 모습.  
 

현재 전남은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의 교원배정방식 변경 이후 소규모 초·중등학교들이 대거 통폐합됐다.

또한 2012년까지 학생수 60명이하의 학교의 통폐합작업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교과부의 이러한 정책들로 전남은 앞으로도 소규모학교 통폐합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서·벽지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누구나 갖고 있는 교육권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교육공황 상태에 처하게 될 위기에 처해 있다.

사실 소규모학교들의 통폐합 문제는 교원배정방식변경 전에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었으나 해당 학부모들과 동문들의 반발이 야기돼 문제의 해결책을 마련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작은학교의 폐교는 단순히 재학생들만의 얘기는 아니다. 시골마을에서 학교란 농촌 문화의 전당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다.

학교가 교육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며 결국 소규모학교 통폐합은 시골공동체기반을 무너뜨리고 있다는데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폐교가 된 지역은 당연 동문회나 마을 체육행사도 줄어들 것으로 지역공동체의 분열 또한 우려되고 있어 이렇게 농어촌지역에서 학교의 의미는 도시와는 전혀 다르게 해석되고 있다.

학생들의 배움의 터전이기도 하지만 농촌의 피폐화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문화적 공간으로써 경제적으로 환산할 수 없는 더 큰 이익이 농촌학교를 통해서 창출돼 왔다.

또 학교가 없는 지역에 젊은층의 인구유입을 꿈꿀 수 도 없는 것으로 농어촌 인구유입정책과도 배치된다는 비판 또한 피하기 힘든 부분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다들 '교육은 경제논리로 접근해서는 안된다'고들 말을 하고 있다.

대부분 지역주민과 학부모들은 정부가 경제성과 재정운영의 효율성을 내세워 소규모 학교의 지역여건을 무시하고 획일적 기준에 따라 교원을 배정해 통폐합을 할수밖에 없는 논리로 몰고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물론 일부 젊은세대 학부모들의 시각차는 다른 부분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들의 의견은 "몇 안되는 학생수론 상급학교 진학시 아이들이 경쟁에서 밀릴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큰 학교로 통합된것에 찬성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의견들은 학교가 통폐합됨으로 인해 마을단위 공동체 형성을 위한 소규모 행사의 차질과 아이들의 갑작스런 환경변화에 대한 정서적 혼란스러움 등을 이유로 소규모학교 통폐합을 획일적으로 해선 안된다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마을 젊은이들의 이농현상을 부채질하는 정책이다"고 말하고 "얼마안되는 교통비만으로 해결되는 문제도 아니다"며 교과부 정책을 비판했다.

귀농의 주요 요소로 귀농을 꿈꾸는 사람들은 학교 유무를 손꼽고 있다. 이로서도 소규모 학교의 역할과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현장에서 들어본 통폐합이후 학부모들이 우려하는 부분에는 먼저 큰학교로 옮기면서 촌지에 대한 생각이 가장 먼저 떠올랐다는 얘기를 했다.

또 초등학교의 경우 "아이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아 마을이 삭막해진 기분이다"고 전했다. "사람사는 마을에 사람 소리가 들리지 않고 폐교가 개인에게 팔려 공사하는 소리만 들리니 시골사는 서로움이 이런 것이려나 싶다"는 푸념도 털어 놓았다.

일각에서도 단지 출생지가 도서·벽지라는 이유로 문화적 결핍은 두말할 것도 없이 학습자가 장거리를 통학해야 한다는 것은 교육평등의 시각에 비추어 보아서도 불합리하다는 것.

더불어 현재가족형태에서 두드러지는 현상 중 조손가정 비율도 시골로 갈수록 많아지고 있음을 감안 한다면 방학과 방과후에 아이들이 갈 곳이 없게 돼 이러한 현실을 외면하는 것으로 그동안 시골학교가 학생들의 유일한 쉼터이며 교육문화 공간이였다는 것이 더욱 강조되길 바라고 있다.